축의금 왜 적게 냈냐고 물어보는 친구

 

경조사 문화가 꼭 나쁘다고 생각지는 않는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조사 문화가 너무 부풀려진 점은 분명하다. 많은 사람들이 경조사비 때문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어떤 사람은 경조사비를 두고 ‘웬수’라고 하더라. “절대 잊지 않고 있다가 갚으라고 뒤쫓아오니까 웬수죠.”

 

경조사비가 웬수가 되는 이유는 ‘상호성의 법칙’ 때문이다. 사람은 남에게 도움을 받으면 이를 갚아주어야 한다는 강한 압박을 받게 된다. 그래서 경조사비를 받으면 나중에 반드시 되돌려줘야 한다는 압박을 받게 되고, 이것이 부담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런 심리를 이용하는 범죄가 바로 뇌물이다)

 

원래 부조는 잔칫집이나 상가에 돈이나 물건을 보태 도와주거나 일을 거들어주는 걸 의미했다. 일종의 품앗이라고 볼 수 있다. 그게 현대에 오면서 현금을 내는 것으로 정착한 것이다. 현대에도 결혼식이나 장례식에 들어가는 비용이 만만찮으니, 이를 도와주는 의미에서 십시일반 내는 돈이라고 생각하는 게 좋을 것이다.

 

그런데 상호성의 원칙이 작동하면서 ‘도움’이 ‘부담’으로 변모한다. 심하면 위 사례처럼 많고 적음을 두고 갈등이 벌어지기도 한다. “내가 이만큼 해줬는데, 너는 왜 이것밖에 안 하냐?”, “우리 사이에 이렇게밖에 못 하냐?” 이런 소리가 나온다. 본래 취지를 생각하면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인터넷에는 ‘축의금 액수 정리’라는 이름으로 적당한 축의금을 알려주는 게시물이 올라오곤 한다. 하지만 이런 정리는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 사람마다 사정이 다르고, 무엇보다 물가가 오르기 때문에 몇 년 이상 적용하기가 어렵다. 그보다는 적당한 경조사비에 관한 원칙이 필요하다.

 

개인적으로 경조사비는 자신의 경제 사정에 맞춰 주면 된다고 생각한다. 만일 여기서 ‘내가 준 게 있는데…’라는 계산이 들어간다면, 그건 선물이 아니라 뇌물을 바라는 심보라고 생각한다. 나중에 무언가 돌려받을 심보로 건네는 선물이 뇌물이지 않은가? 상호성의 법칙이 뇌물의 원흉이라는 걸 생각하면 더욱더 그렇다. 그러니 우리 경조사비로 뇌물을 주고받지 말고 선물을 주고받자. 섭섭함을 떠올릴 게 아니라 감사함을 떠올리는 사람이 되자.

 

덧. 위 사례에 관한 댓글 중 하나. “5만 원에 손절했으니 싸게 먹혔네요.” 격하게 공감한다.

 

참고 : 축의금 왜 적게 냈냐고 물어보는 친구, 이토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