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장성규가 많이 받는다는 연락

 

 

 

도움을 요청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아무리 자신의 상황이 막막하더라도, 타인에게 완전한 해결을 바라는 것이 스스로에게 도움이 될까? 해결의 기미가 전혀 안 보이는 상황에서도 고민의 실타래를 풀 수 있는 꿀팁에 대해 알아보자.

 

첫째, 문제 상황들을 나열해 본다. 모든 상황이 안 좋아서 머리가 복잡할 때는 일단 종이 위에 그 상황들을 나열해서 적어보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된다. 일본의 정신과 의사 가바사와 시온의 저서 <신의 시간술>에서는 한 문제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은 머릿속이 복잡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저자가 추천하는 방법은 ‘신경 쓰이는 일은 전부 글로 써보기’였다. 목표가 달성되지 않은 미완료 과제는 완료 과제보다 훨씬 더 잘 기억된다는 것이 ‘자이가르닉 효과’이다. 답답한 고민이나 잡념이 떠오르면 일단 글로 써보자. 쓰고 나서 잊어버리는 것도 중요하다. 해결하기 어려운 일에 골치 아파하기만 하는 것은 정신적인 에너지를 갉아먹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

 

둘째, 지금 내가 해결할 수 있는 일과 하지 못하는 일을 구별한다. 나에게 닥친 문제들을 모두 다 나열했다면, 그다음은 그것들이 지금 내가 해결할 수 있는 일인지 아닌지를 구별해야 한다. 모든 상황이 다 해결이 불가능한 사면초가의 경우인 것 같아도, 그래도 그중에는 약간의 노력으로 조금은 나아지게 할 수 있는 부분이 분명 존재한다. 내가 당장 할 수 있는 일과 못 하는 일을 구분하는 것, 정말 중요하다.

 

셋째, 해결할 수 있는 일을 구체적으로 나눠본다. 두 가지로 구분했다면, 지금 당장 내가 할 수 없는 일은 잊고 내가 당장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해보자. 해결 가능한 일을 어떻게 하면 될지 모든 방법을 다 총동원해 해결책을 써보는 것이다. 모든 문제 해결에 중요한 것은 ‘구체적인’ 실행계획이다. 막연하게 삶이 나아졌으면 좋겠고 누군가가 슈퍼맨처럼 도와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건 수동적인 자세다. 그렇게 바라기만 해서는 아무런 변화도 일어나지 않는다.

 

막막하고 시간이 없다고 생각되어도 10~30분의 시간을 들여서 차분히 문제들을 나열해보고 해결책을 찾아보자. 그렇게 하다 보면 답이 안 보일 것만 같던 일들도 의외로 간단히 해결되는 경우도 많다.

 

참고 <최근 장성규가 많이 받는다는 연락 >, 에펨 코리아

 

Written by 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