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를 받아들이는 태도가 결과를 결정한다

 

미국 미네올라(Mineola)중학교는 매 수업 시간 전 다음과 같은 내용이 담긴 동영상을 틀어 주었다.

 

“우리는 계속 향상되고 있습니다. 어려운 문제에 도전하면서 우리는 점점 더 똑똑해집니다. 장애물은 포기하라는 뜻이 아닙니다. 뭔가 어려운 것은 그것을 극복했을 때 나를 더 강하게 만들어 줍니다. 가장 중요한 건 공부가 여행이라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여정의 단계마다 성장할 또 다른 기회가 있습니다.”

 

학교의 모든 교사는 학생들이 노력만 하면 언제나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을 믿도록 가르친다. 즉, 미네올라중학교는 학생들이 성장형 사고방식을 형성하도록 학교 전체가 노력하는 것이다.

 

심리학과 대학생이었던 캐롤 드웩은 셀리그먼의 ‘학습된 무기력’ 이론에 크게 감명받았다. 그리고 대학원에 진학해 이 문제를 심도 있게 연구한다. 그리고 연구 도중 학습된 무기력으로도 설명하지 못 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셀리그먼은 계속되는 실패가 기대를 상실 시켜 학습된 무기력에 빠진다고 했다. 하지만 드웩은 학생들이 비관적으로 된 이유가 연이은 실패 때문이 아니라, 실패를 해석하는 관점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게 된다.

 

1975년 드웩은 자기 생각을 증명하고자 실험 하나를 했다. 학생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모두 수학 문제를 풀게 했다. 그리고 한 그룹에는 주어진 시간 안에 몇 문제를 풀든 상관없이 칭찬해 주었고, 다른 한 그룹에는 풀지 못한 부분을 지적하면서 더 열심히 하면 잘할 수 있다고 이야기했다.

 

그다음, 이 두 그룹에 쉬운 문제와 어려운 문제가 섞인 문제를 풀게 했다. 만약 연이은 실패가 문제였다면 칭찬만 들은 그룹은 더 큰 동기부여를 갖고 어려운 문제 또한 잘 풀었어야 했다. 그러나 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칭찬만 들은 그룹은 어려운 문제를 쉽게 포기했다. 하지만 ‘노력’을 강조한 그룹의 학생들은 어려운 문제에 봉착했을 때 더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캐롤 드웩은 연구를 통해 인간은 자기 존재에 관한 두 가지 믿음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하나는 자기 자신을 고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능과 성격은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은 타고난 대로 고정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를 ‘고정형 사고방식’이라고 한다. 반대로 지능과 성격도 변하며 노력만 한다면 모든 사람은 변한다고 믿는 사람이 있다. 이런 사람을 ‘성장형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이라고 한다. 이 두 가지 사고방식은 공부뿐만 아니라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자기 관점, 도전, 실패, 노력, 비판, 다른 사람의 성공 등 6가지 항목으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1) 자기 관점 : 고정형은 지능과 성격이 고정된 것이라고 본다. 하지만 성장형은 지능과 성격은 변한다고 믿는다.

 

2) 도전 : 고정형은 자기가 잘할 수 있는 것에만 매달리는 경향이 있다. 어려운 도전은 실패했을 때 자신의 이미지가 손상되기 때문에 피한다. 성장형은 도전이 자신을 성장시키는 초석이라고 믿기에 기꺼이 도전한다. 이들은 도전으로 많은 정보를 얻는다.

 

3) 실패 : 고정형은 실패하면 자아에 위협을 느낀다. 실패한 과제는 피하거나 그 과제 수행은 내 능력으로는 불가항력이라고 말한다. 성장형은 실패를 그야말로 성장을 위한 과정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실패로 더 많은 것을 배우고 성장한다.

 

4) 노력 : 고정형은 노력의 가치를 깎아내리는 경향이 있다. ‘노력해도 소용없다.’라는 말을 자주 한다. 성장형은 노력의 가치를 매우 높게 본다. 노력하면 성장은 무조건 따라오는 것이라고 믿는다.

 

5) 비판 : 고정형은 비판을 받으면 존재에 상처를 입는다. 유용한 비판도 자존심을 상해하며 보통 자기를 무시한다고 생각하거나 비관에 빠진다. 왜냐면 자신은 고정되었기 때문이다. 성장형은 비판을 환영한다. 비판으로 성장하고 개선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6) 다른 사람의 성공 : 고정형은 다른 사람의 성공을 보며 열등의식을 느끼거나 성공한 사람의 재능을 찬양하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성장형은 다른 사람의 성공을 보며 배울 점을 찾으려고 노력하며 성공한 사람의 노력에 초점을 맞춘다.

 

고 작가는 숫자와 통계가 자주 등장하는 경제 경영책을 4권 썼고 뇌과학, 인지심리학, 행동경제학을 중심으로 과학적 사실에 입각한 독서법 책 <어떻게 읽을 것인가>를 썼으며 최근에는 발달심리학, 인지심리학, 뇌과학, 교육학, 생물학의 연구 등을 바탕으로 <부모공부>라는 양육서를 썼다. 그래서 고 작가의 과거를 모르는 주변 사람들은 고 작가가 어렸을 때부터 수학과 과학 등에 관심이 많았으리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고 작가는 전형적인 ‘수포자(수학 포기자)’였고 ‘이공계’ 쪽은 쳐다보지도 않던 사람이었다.

 

고 작가는 성실하게 공부하기보다 벼락공부로 시험에 대처하는 학생이었는데, 다른 과목 점수는 고만고만하게 나왔지만 유독 ‘수학’은 그렇지 않았다. 지금은 선행학습을 많이 하는 편이어서 상황이 좀 다르지만 고 작가의 학창 시절에 막 중학생이 된 아이들에게 가장 어려운 과목은 수학이었다. 왜냐하면, 다른 과목에 비해 난이도가 상당히 올라가기 때문이다. 게다가 수학은 기초가 부족하면 진도를 제대로 따라갈 수 없는 과목이다. 벼락공부로 일관하던 고 작가의 수학 점수는 계속 떨어졌다. 계속되는 점수 하락으로 고 작가가 내린 결론은 무엇이었을까?

 

“수학은 내 머리랑 맞지 않아. 역시 난 인문 계열 스타일!”

 

수학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아 성적이 안 나온다고 생각하기보다 자신은 수학형 머리가 아니라고 생각하며 상황을 회피해 버린 것이다. 당시 고 작가는 고정형 사고방식의 소유자였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결론을 내리자 고 작가는 마음이 편했다. 하지만 그 이후로 고 작가는 진지하게 수학 공부를 한 적이 없다. 결국, 수학에 대한 기초적인 준비도 제대로 못 한 채 수능까지 봤다(고 작가는 당시에 수학 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았던 것을 가장 후회한다).

 

그런데 이런 문제는 비단 고 작가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 드웩의 연구에 따르면 실제로 초등학교 때에는 고정형과 성장형 아이들의 성적 차이가 별로 나지 않지만, 수준이 높아지는 중학교부터 유의미한 차이가 난다고 한다. 특히 그중에서도 수학에서의 차이는 더 극명하다. 수준이 높고 실패를 많이 하는 과목일수록 고정형과 성장형은 차이가 난다. 왜냐하면, 고정형은 이를 회피하거나 포기하지만, 성장형은 실패에도 불구하고 도전하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성장형 사고방식과 고정형 사고방식’에 관하여 더 알고 싶다면? 다음 심화 강연을 놓치지 마세요.

 

 

참고 <완벽한 공부법>, 고영성·신영준 저

 

Sponsored by ROK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