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보다 외국나가면 공감되는 것

우리나라에는 특유의 ‘빨리빨리’ 문화가 있다. 어떤 일처리를 할때 마감이 빨라야 하는 건 기본, 인터넷 속도도 빨리, 목적지에 도착하는 것도 최대한 빨라야 한다. 빠르다는 것은 곧 시간이 적게 걸린다는 것이고, 시간이 적게 걸린다는 건 남들이 같은 시간내에 하나를 완성할 때, 두세개 정도 해낼 수 있다는 역량을 의미한다.

 

고백하건대, 나는 이런 빨리빨리 문화에 조금은 더딘 사람이다. 처음부터 ‘잘해야겠다’는 부담감에 나름 꼼꼼하게 살펴보려고 하는데, 결과는 꼼꼼함이 잘 반영된 경우가 3이요 그렇지 않은 경우가 7이다. 그래서 요즘엔 최대한 시간을 정해두고 평가야 어찌됐든 결과물을 많이 만들어내려고 한다.

 

온라인 커뮤니티에 트위터 캡처 사진이 올라왔다.

 

 

일본에서 일하는 지인의 멘트를 인용한 트위터인데, 한국의 ‘빨리빨리’ 문화와 이에 따른 경쟁이 싫어서 막상 외국으로 왔는데, 이 나라 특유의 느릿한 일처리 때문에 답답함을 호소하는 내용이다. 해외여행 경험이 적은 나로서는 일본 사람들의 일처리가 얼마나 비효율적인지는 잘 모른다. 그런데 한국 특유의 치열함이 싫었다는 지인도 막상 다른 나라에 있으니 ‘빨리빨리’ 문화가 상대적으로 더 나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생각해보면 한국 특유의 ‘빨리빨리’ 문화가 국가 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다. 1945년 해방 이후 1950년 한국전쟁이라는 큰 비극을 겪고도 그로부터 20여년 만에 ‘한강의 기적’이라는 산업화를 이뤄냈고, 1990년대~2000년대 초엔 인터넷 강국이란 명성과, 올들어서는 코로나19 모범 방역국가라는 명성까지 따냈으니 말이다. 정부수립 100년 만에 이같은 결과를 이룩했다는 것은 정말 놀라운 일이다. 아무쪼록 저 트위터를 보자마자 문득 든 생각은 생뚱 맞을지도 모르겠지만 ‘집 떠나면 고생이다’라는말이었다. 정말 익숙할대로 익숙해진 공간이지만 막상 떠나면 집 만큼 편한 곳이 없다는 것. 그렇지 않으면 얼른 저 멍청하다고 생각하는 현지 문화에 적응하는 게 최선일 것이다. 글쓴이의 지인이 조금은 덜 답답해하기를 바란다.

 

참고 <생각보다 외국나가면 공감되는 것>, 더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