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사진은 Daniel de Bruin이라는 디자이너가 만든 일종의 톱니바퀴 시계다. 1번째 기어가 10바퀴 돌 때 2번째 기어가 1바퀴를 돌도록 제작되었다.

그리고 이 시계에는 총 100개의 톱니바퀴가 있다.

마지막 톱니가 돌아가려면 1번째 톱니가 10의 100제곱만큼 돌아가야 한다. 즉, 이 장치는 10의 100제곱인 구골(googol)이라는 숫자를 시각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1번 톱니바퀴가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이 3.5초라면, 2번 기어는 35초가 걸린다.

5번 기어가 한 바퀴 도는 데는 약 10시간이 걸린다. 한 달 정도면 7번 기어가 한 바퀴 도는 걸 걸 볼 수 있고, 8번 기어는 1년이 조금 더 걸려야 돌아갈 수 있다.

만약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이 기계가 도는 걸 본다면, 10번 기어가 한 바퀴 완주하는 걸 보게 될지도 모른다. 11번 기어가 도는 데는 1,000년이 넘게 걸릴 것이고, 12번은 인간이 기록한 그 어떤 역사보다 더 긴 시간이 걸릴 것이다. 14번이 도는 데는 인류가 존재했던 시간 만큼이나 필요하다.

공룡이 멸종된 후 지금까지 걸린 시간을 다 합쳐도 16번 톱니를 겨우 반 바퀴 돌릴 수 있다. 지구 나이만큼의 시간이 지나면 18번 기어를 반 바퀴 돌릴 수 있다. 마침내 우주의 탄생, 빅뱅에 이르는 시간을 다 합쳐도 21번 기어의 톱니 하나만 겨우 움직일 것이다.

만약 마지막 기어를 움직이면 어떻게 될까? 이 기어를 ‘보통’ 속도로 움직인다면 1번째 기어는 광속을 돌파하고도 남을 속도로 움직이게 된다.
당신은 이 시계를 보며 무엇을 느끼는가? 약간의 신기함 또는 경외감? 나도 그 정도의 감정만 느꼈다. 하지만 이를 보고 전혀 다른 생각을 떠올린 사람이 있다. 바로 아마존의 창립자 제프 베조스다. 그는 텍사스 산골에 4,200만 달러를 투자해 거대한 시계를 제작했다. 이 시계는 초침이 1년에 한 번 째깍거리고, 분침은 100년에 한 번 움직인다. 또 1,000년에 한 번 뻐꾸기가 튀어나와 울도록 만들어졌다. 사람들은 이 시계를 ‘만년 시계’라고 부른다.

제프 베조스는 만년 시계를 만든 이유가 ‘장기적 사고’를 떠올리기 위해서라고 한다. “이 시계가 삶을 마감하기 전에 미국이라는 나라가 먼저 사라질 겁니다. 모든 문명이 흥망성쇠를 거칠 테고, 새로운 정부 시스템이 발명될 겁니다. 이 시계가 경험할 세상이 어떤 모습일지 현재의 어느 누구도 상상할 수 없습니다.”
베조스는 장기적 사고의 대가다. 그는 장기적으로 기업 가치를 키우는 것이 아마존 성공의 ‘근본적인 척도’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분기별 실적 발표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오로지 장기적 관점에서 회사를 끌어간다. 그 결과 2000년대 초반 닷컴 버블이 무너지는 위기 속에서도 살아남았다. 만약 장기적 사고를 갖지 못하고 순간적인 실적과 주가 변동에 일희일비했다면 지금의 아마존은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우주의 탄생이나 기업 경영 같은 거창한 일이 아니라 우리 삶에 장기적 사고를 적용하면 어떻게 될까? 나는 딱 2가지만 말하고 싶다. 독서와 운동이다. 과거와 현재의 모든 현자들은 입을 모아 독서를 장려하지만, 막상 그 말을 듣고 책을 읽는 사람은 별로 없다. 독서는 즉각적으로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한 권 읽고 지혜로워지는 사람은 없다. (그렇게 느꼈다면 ‘우매함의 봉우리’에 서 있을 확률이 높다) 3년 이상 혹은 100권 이상은 읽어야 독서의 효과를 제대로 누린다고 한다. 장기적 사고를 가지고 접근해야지만 얻을 수 있는 인생 교훈인 셈이다. 운동도 마찬가지다. 하루에 딱 30분만 운동해도 된다. 그게 5년이 가고, 10년이 지나면 엄청난 차이로 돌아온다.
지금 당장 급한 일을 처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으로 보고 급하지 않되 중요한 일을 시작해야 한다. 그 시작이 얼마나 거대한 결과로 돌아올 수 있을까? 그래서 장기적 사고를 가진 사람들은 기적 같은 일을 당연한 것처럼 이야기하기도 한다. 놀라운 비전을 품고 산다. 그들의 마음속에는 구골 톱니와 만년 시계가 자리 잡고 있다. 이 기계들이 가진 위력이 얼마나 큰지 항상 되새기며 살고 있다. 당신도 그렇게 산다면, 기적같은 결과를 이뤄낼 수 있을 것이다.
참고
1) The universe’s biggest gear reduction! GOOGOL to 1, 유튜브
2) 우주의 모든 시간을 써도 완전히 돌릴수 없는 톱니바퀴, 이토랜드 (링크)
3) 책 <베조스 레터>
이미지 출처 : Jeff Bezos is building a massive, 10,000-year clock inside a Texas mountain, 더 허슬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