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계획이 아예 없는 친동생..

‘인생사 새옹지마’라는 표현이 있다. 새옹지마(塞翁之馬). 한문 그대로 해석하자면 새옹의 말이라는 건데 여기에는 사연이 있다. 중국 국경 지방에 한 노인이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이 노인이 기르던 말이 국경을 넘어 오랑캐 땅으로 도망을 쳤다. 이웃 주민들이 위로의 말을 전하자 “이 일이 복이 될 지 누가 아느냐”며 되레 주민들을 달랬다. 그로부터 몇 달이 지나자 도망쳤던 말이 암컷과 함께 돌아왔다. 주민들이 기뻐하자 이것이 또 “불행이 될지 누가 아느냐”고 했다. 며칠 후 노인의 아들이 그 말을 타다가 낙마해 다리가 부러지고 말았다. 주민들이 걱정하자 노인은 “이게 복이 될 지도 모르는 일”이라며 덤덤하게 말했다.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오랑캐가 침략해 왔고, 나라에서는 전국의 젊은이들을 징집, 젊은이들은 어쩔 수 없이 전쟁터로 나가야했다. 하지만 노인의 아들은 다리가 부러져서 징집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처럼 ‘새옹지마’는 사람의 일은 눈앞에 벌어진 결과만 놓고선 뒷일은 아무도 알 수 없으니, 결과에 일희일비하지 말라는 교훈을 준다. 그런데 네이트판에 올라온 사연도 마찬가지였다.

 

 

 

 

 

백수 딸의 억지에 빠듯한 살림에도 서울 집을 팔지 않았는데 이것이 부동산 시세 상승과 맞물려 되레 앉아서 돈을 벌어다주는 효과를 낳은 것이다. 이 게시글을 본 역시 친동생의 행동에 따른 의외의 긍정적인 결과에 놀라며, 되레 동생을 원망하는 글쓴이를 공격하기도 했다. 하지만 새옹지마가 어떤 의미던가. 세상에 크든 작든 영향을 미치는 것은 복이 될 수도 있고, 화가 될 수도 있다고 했으니 이 여동생도 이런 행운이 지나가면 다시 집안의 애물단지가 될 수도 있다. 이미 글쓴이의 글에서 여동생의 허영과 돈씀씀이가 눈에 보인다. 부동산 시세 차익으로 벌었던 돈의 두배가 빠져나갈지도 모를 일이다. 그저 이 우연한 행운이 다하기 전에 여동생이 얼른 철이 드는 것이 최선일테다.

 

참고 <뜻밖에 효녀> 네이트판, 웃긴대학 재인용(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