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기록을 15번이나 갈아치운 육상선수

본 콘텐츠는 로크미디어와 경제적 이해관계가 있는 체인지그라운드에서 제작했습니다.

 

 

스웨덴 북부 산골 마을에서 자란 군데르 헤그는 어렸을 때 숲에서 달리는 것을 매우 좋아했다. 매번 열심히 달리기하는 군데르를 흐뭇하게 바라보던 아버지는 어느 날 군데르가 얼마나 빨리 달리는지 알아보기로 했다. 아버지는 1,500미터 정도 되는 길을 찾았고 아들을 뛰게 했다. 군데르가 결승선에 도착했을 때 아버지는 기록이 4분 50초라고 말하며 아들을 칭찬해줬다.

 

실제 어린 나이에 그것도 숲에서 1,500미터를 4분 50초에 달린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었다. 군데르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믿음이 생겼고 이후 진지하게 육상 훈련을 시작했다. 결국, 군데르는 1940년대 초반 세계 기록을 15개나 깰 정도로 엄청난 선수가 된다.

 

군데르는 아버지가 말한 기록을 들었을 때 강력한 ‘자기효능감’을 얻은 것이다. 자기효능감이란 어떤 것을 달성할 때 필요한 행동을 조직화하고 시행하는 개인의 능력에 관한 믿음을 말한다. 다시 말해 공부나 프로젝트 등 미래에 요구되는 과제 능력을 판단하는 자기 판단 기준이다.

 

자기효능감은 특히 학업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콜린스 연구팀의 연구를 보자. 콜린스는 수학 성적이 낮은 학생, 중간 학생, 높은 학생을 선발해서 학생들은 절대 풀지 못할 어려운 문제를 풀게 했다. 그리고 문제를 풀기 전에 각각의 집단 학생들에게 수학 풀이 능력에 관한 자신감에 대해서도 미리 조사했다. 연구 결과는 흥미로웠다. 난해한 수학 문제에 더 많이 도전하고 더 좋은 전략을 세우려고 한 학생은 수학 점수와는 상관이 없었다. 오히려 수학에 관한 자기 능력의 믿음이 더 큰 상관관계로 나왔다.

 

그동안 여러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더 높은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꾸준한 학습 전략 개선을 위해 노력하며, 또 실패와 무관하게 어려운 도전 과제를 수행하는 경향이 강함’을 밝혀냈다. 결론적으로 자기효능감은 실제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올려주고 미래의 학업 성취도에 가장 강력한 예측 변수가 된다. 물론 학업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과제에도 자기효능감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렇다면 자기효능감을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 자신의 잠재력을 높게 보는 것이 그 해답이다.

 

하버드대학 심리학자인 로버트 로젠탈은 샌프란시스코의 한 초등학교 교장이었던 레노어 제이콥슨과 함께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5학년까지의 18개 학급의 학생에게 인지능력 평가를 시행했다. 이 시험은 어휘력과 추론 능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시험이다. 시험 이후 20%의 학생은 지적 잠재력이 뛰어난 영재로 분류되었다. 로젠탈은 시험 결과를 교사들에게 알려 주며 20%에 속한 영재들은 지금 당장 큰 차이를 보이지 않더라도 1년 후에는 상당한 성장이 있을 것이라고 암시했다.

 

그리고 실제로 1년 후에 20%의 영재 그룹에 속한 아이들은 다른 아이들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아이큐 또한 더 많이 올랐다. 2년 후에는 그 차이가 더 벌어졌다.

 

그런데 이 실험에는 한 가지 함정이 있었다. 로젠탈이 분류한 20%의 학생은 실제 인지능력 평가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아이들이 아니었다. 점수에 상관없이 그냥 무작위로 20%를 선별한 것이었다. 군데르의 아버지도 로젠탈과 마찬가지였다. 아버지는 군데르가 처음 1,500미터를 달릴 때 기록이 4분 50초라고 말했지만, 실제 군데르의 기록은 5분 50초로 매우 평범했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거짓말을 했던 것이다!

 

이 실험은 우리에게 2가지 시사점을 던져준다. 먼저 권위 있는 사람이 자신의 잠재력을 믿어 줄 때 자신도 그 잠재력을 믿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할 때 그것은 자기실현적 예언이 되어 능력을 가졌다고 믿는 잠재력까지 끌어올리려고 노력한다.

 

다른 하나의 시사점은 교사의 중요성이다. 실제로 교사가 잠재력이 있다고 믿은 학생에게는 관심을 더 기울이고 격려하며 자신감을 불어넣어 주었다. 피드백을 더 꼼꼼하게 했으며 더 따뜻하게 대화했다고 한다. 당연히 반대의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토드 로즈의 교사처럼 어떤 아이의 잠재력이 없다고 생각하면 그 또한 자기실현적 예언이 될 수 있다. 교사로 인해 아이의 잠재력이 말살되어 버리는 것이다. 이런 자기실현적 예언은 아이들뿐만 아니라 성인의 연구에서도, 일터를 연구한 결과에서도 지속해서 나타나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신 박사도 온라인 상담과 오프라인 모임으로 만난 친구들을 통해 자기실현적 예언의 중요성을 자주 경험하였다. 신 박사의 멘티 중에는 성적을 극적으로 향상한 친구들이 상당히 많다. 그중에서도 학과에서 처음으로 1등을 한 현식(가명) 군의 이야기를 들어 보자.

 

“한번은 박사님이 ‘시험을 못 보는 것은 능력이 부족한 게 아니라 공부를 충분히 안 해서 그런 것이다’라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또 어설프게 공부해서 ‘시험에 질질 끌려다니지 말고 제대로 공부해서 우리 자신을 평가해 보는 게임처럼 생각하라’고 충고해주셨습니다. ‘이건 단순히 점수의 문제가 아니라 시험에 관한 관점과 태도가 핵심’이라고 이야기해 주셨습니다. ‘모두가 대단한 일을 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시험이 삶의 한계가 되고 한계가 확장되어서 시험이 인생의 목표가 된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니 ‘반드시 시험을 뛰어넘으라’고 조언해 주시면서 ‘제대로 꾸준히 하면 누구나 이겨낼 수 있다’고 격려해 주셨습니다. 그 말을 들었을 때 사실 충격이었습니다. 시험은 제 평상에서 언제나 저보다 더 거대한 존재였습니다. 하지만 박사님의 조언을 들은 후 완전히 관점이 바뀌었고 성적을 받기 위해 시험을 보는 것이 아니라 저 자신이 얼마나 제대로 알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험을 보고 싶어졌습니다. 살면서 처음으로 (여전히 힘들었지만) 공부를 신나게 했습니다. 그리고 모든 시험을 주어진 시간보다 훨씬 빨리 풀고 나왔고 저는 학과에서 1등을 하고 처음으로 성적 장학금을 받았습니다.”

 

모두가 잠재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존재조차 잘 모르기 때문에 시도조차 안 하는 것이다. 신 박사는 수많은 상담을 통해 할 수 있다는 잠재력만 확인시켜줘도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는 친구가 생각보다 많다는 것을 자주 경험했다. 그런데 자기의 잠재력을 인정해 줄 사람이 없다며 슬퍼하지 말자. 결국, 믿는 주체는 다른 사람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다. 자기 자신의 잠재력을 믿어라. 이 글이 당신의 자기효능감을 올려 주리라고 확신한다.

 

‘잠재력과 자기효능감’에 관하여 더 알고 싶다면? 다음 심화 강연을 놓치지 마세요.

 

 

참고 <완벽한 공부법>, 고영성·신영준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