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는 자에게 힘이 있다

본 콘텐츠는 로크미디어와 경제적 이해관계가 있는 체인지그라운드에서 제작했습니다.

 

꾸준히 노력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능력은 ‘자제력’이다. 자제력은 장기 보상을 위해서 단기 충동을 억제하는 능력으로 ‘마시멜로 이야기’를 통해 자제력의 힘이 얼마나 대단한지 많은 사람이 알게 됐다(마시멜로 실험에 대해서는 여러 이견이 있지만, 자제력의 중요성에 대한 이견은 현재까지도 거의 없다). 이후 많은 연구를 통해 학업 성취도나 사회적 성공에 있어 의지력, 인내력, 버티는 힘, 그릿(절대 포기하지 않는 태도), 성실성, 근면성 등 노력을 끌어내는 데 자제력이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런데 자제력의 영향력에 대해서는 많이 인지하지만, 자제력이 배울 수 있는 능력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 자제력, 끈기, 의지력 같은 것을 오로지 타고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끈기가 ‘있네’ 혹은 ‘없네’라고 말하지 끈기를 ‘키웠어’, ‘키우지 못했어’라고는 잘 말하지 않는다. 하지만 자제력은 근육을 키워 나가는 것처럼 훈련을 통해 키울 수 있다.

 

심리학자 바우마이스터는 실험 참가자들에게 몇 주 동안 자제력을 발휘하는 일을 하게 했다. 그런데 하는 일은 각자 달랐다. 어떤 사람은 먹은 음식을 모조리 기록해야 했고 어떤 사람은 운동을 꾸준히 해야 했으며, 어떤 사람은 가계부를 꼼꼼히 작성해야 했고 어떤 사람은 이를 닦을 때 평소에 쓰지 않는 손을 사용해야 했다.

 

일정 시간이 지난 뒤 모든 실험 참가자에게 말에 제약을 두는 자제력 실험을 했다. 예를 들어 절대 비속어를 써도 안 되고 문장에 ‘나는’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안 되며, 항상 완전한 문장을 써야 했다. 실험 결과 자제력 훈련을 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여러 모양으로 자제력 훈련을 한 사람들이 언어 시험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여기서 우리는 두 가지를 알 수 있다. 자제력은 훈련될 뿐만 아니라 특정 행동에 대한 자제력을 키워나가면 자제력을 발휘해야 할 다른 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다. 실제 바우마이스터 실험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실험 이후 일상생활에서도 과거보다 더 큰 자제력을 발휘했다고 보고했다. 예전보다 담배와 술을 덜 했으며 정크푸드를 덜 먹었고, 텔레비전을 덜 보았고 일상의 허드렛일에 더 큰 인내를 했으며, 무엇보다 ‘공부’를 더 많이 하게 됐다.

 

매튜 리버먼과 엘리엇 버크먼의 자제력 실험에서도 시각 운동을 대상으로 한 자제력 훈련이 정서 조절, 즉 감정을 억제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는 말이 자제력에는 그대로 적용되는 듯하다. 두 개의 마시멜로를 먹으려고 눈앞에 있는 하나의 마시멜로 먹는 것을 15분 동안 참았던 아이들이 커서 더 높은 수능 점수, 더 좋은 직장, 더 많은 연봉을 받게 됐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뇌과학은 이런 실험을 그대로 지지해주고 있다.

 

뇌과학자들은 뇌 우반구의 복외측 전전두피질이 거의 모든 종류의 자제력에 관여하는 뇌 부위라는 의견을 모았다. 감정을 억제하고, 놀고 싶은 마음을 억제하고, 말실수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등 우리가 발휘하는 자제력의 종류는 경험적으로 매우 다르지만, 항상 활성화되는 뇌 부위는 같다는 것이다. 그곳이 복외측 전전두피질이다.

 

결론적으로 모습은 달리하지만, 모든 자제력은 하나의 메커니즘을 갖고 있으며 뇌의 가소성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제력을 키우면 이것이 공부를 열심히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노력을 지속할 힘은 우리가 앞에서 배웠던 것처럼 믿음, 목표, 동기부여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장기 보상을 위해 단기 충동을 억제하는 ‘자제력’까지 갖춘다면 당신은 누구 못지않은 ‘노력왕’이 될 것이다.

 

참고 <완벽한 공부법>, 고영성·신영준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