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이 실험한 한국인의 양심.jpg

외국인들이 한국 와서 가장 놀라는 일 중 하나. 카페에서 지갑, 스마트폰, 노트북 같은 귀중품을 두고 화장실에 다녀와도 가져가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외국이었으면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라고 한다.

 

 

그럼 좀 더 구체적으로 한국 사람은 얼마나 정직할까? 수치로 표현할 수 있을까? 2014년 외국의 한 화장품 브랜드에서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일종의 사회 실험을 진행했다.

 

 

서울의 지하철 안. 출입문 근처에 꽃과 선물 그리고 GPS가 담긴 종이 가방이 놓여 있다. 100개의 종이 가방은 100대의 열차를 타고 1호선을 타고 운반될 예정이다. 과연 종이가방은 얼마나 돌아올 수 있을까? 즉, 돌아온 종이가방 수만큼 서울 시민의 양심을 알 수 있는 셈이다.

 

 

결과는 어땠을까? 실망스러운 상황이 벌어졌다. 사람들이 가방을 들고 열차를 떠나기 시작했고, GPS를 통해 종이 가방이 열차를 이탈했음이 밝혀졌다. 하루를 마치고 100대의 열차가 모두 도착했을 때 돌아온 종이 가방은 6개에 불과했다.

 

 

그런데 다음날 반전이 일어났다. 수많은 GPS 신호가 한 곳에 모여있는 것이다. 그곳은 바로 지하철 유실물 센터. 이곳에 81개의 종이 가방이 접수되었다. 최종적으로 돌아온 종이 가방의 수는 87개. 87%의 정직함이 돌아온 것이다.

 

 

이와 비슷한 실험은 또 있다. 한 외국인이 길 가다 일부러 지갑을 떨어뜨리는 실험을 진행했는데, 28명 중 28명이 지갑을 돌려줬다고 한다.

 

 

이러한 양심은 단지 훈훈한 이야기로 끝나지 않는다. 실질적인 이득을 가져온다. 택배를 예로 들어보자. 우리나라는 부재중일 경우 ‘그냥 문 앞에 두고 가세요’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게 해도 물건을 잃어버리는 경우는 거의 없다. 택배를 훔쳐 가지 않는다는 신뢰가 쌓여 있으니 가능한 일이다.

 

 

반면 다른 나라는 사정이 다르다. 미국에서는 택배를 받아본 사람의 1/3 이상이 한 번 이상 택배가 분실되거나 도난당한 경험이 있다고 한다. 일본은 택배 분실을 아예 원천 봉쇄한다. ‘고객의 손에 직접 물건이 도달할 때까지 몇 번이고 재배달한다’라는 원칙이 있다. 이러면 택배가 분실될 염려는 없겠지만, 재배달이 전체 화물의 20%(8억 개)에 달할 정도로 심각한 자원 낭비를 겪고 있다고 한다.

 

 

정직과 신뢰는 곧 돈이다. 신뢰가 있으면 많은 것은 간소화할 수 있고, 그런 만큼 엄청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물건을 훔쳐 가지 않는다’라는 문화가 실질적으로 엄청난 비용을 절약해주고 있는 셈이다. 앞으로도 대한민국에서 이 점이 변치 않고 쭉 이어졌으면 좋겠다.

 

 

참고
1) 당신은 정직한가? by. 빌리프, 유튜브
2) 해외에서 실험한 대한민국의 치안.jpg, 이토랜드
3) 日 ‘택배의 그늘’…”100개 들고 나가면 1개 배달”, Y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