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하고 싶다면 완벽주의자보다 경험주의자가 되라

 

2020년 세계 부자 순위 6위에 오른 아만시오 오르테가. 그는 패션 기업 자라(ZARA)를 세계적 브랜드로 키우며 세계 최고 부자가 되었다. 자라의 성공 전략은 ‘패스트 패션’이다. 디자인에서 판매까지 걸리는 시간을 2주 안으로 단축해냈다. 이를 통해 재고와 운영 비용을 절감해 저렴한 가격을 유지하면서도 유행에 뒤처지지 않는 세련된 제품을 만들 수 있었다. 그런데 말입니다.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떠오른다. 어떻게 그렇게 빠르게 작업하면서도 유행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었을까? 요행으로 한두 번 유행을 맞출 수는 있다. 하지만 꾸준히 유행을 예측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런데 어떻게 자라는 그 어려운 일을 해냈을까?

 

 

해답은 ‘유행을 예측하지 않는 것’이었다. 대중이 어떤 디자인을 좋아할지 예측할 수는 없다. 오르테가는 이 점을 역이용해 예측이 필요 없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소비자에게 최대한 많은 디자인을 선보여 반응을 살핀 후, 반응이 없으면 빠르게 폐기하고, 반응이 좋으면 비슷한 콘셉트의 옷들을 추가하는 식이었다. 한 마디로 자라는 패션 업계의 람보였다. 대중의 취향을 완벽하게 조준하는 스나이퍼가 아니라, 일단 무차별로 갈겨보고 그중에 잘 맞는 것들에 집중한 것이다. (네가 뭘 좋아할지 몰라서 일단 다 준비해봤어!)

 

 

어느 미대 수업에서는 100개의 시안을 한꺼번에 제출하라는 과제를 내준다고 한다. 뛰어난 작품 하나를 만들기 위해 고심하는 것보다, 뭐가 됐든 100개를 그리면 그중에 뛰어난 작품이 나올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단 하는 것 자체가 습관이 되면 정교하게 다듬는 일은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꾸준히 계속해나가는 것이다. 그중에 무엇이 성공할지는 아무도 모른다. 완벽한 결과물을 만들어 반드시 성공해야겠다고 생각하면 오히려 성공하지 못한다. 2% 부족하더라도 더 많이 시도하는 사람, 더 많이 경험하는 사람이 성공할 수 있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말이 있다. 보통 이 말은 실패로 좌절한 사람에게 희망을 주는 이야기로 쓰인다. 하지만 나는 이 말의 진정한 의미는 따로 있다고 생각한다. ‘실패’했다는 말은 이미 ‘경험’했다는 말이기도 하다. 앞서 말했듯이 성공의 비결은 더 많은 시도다. 더 많은 실패가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건, 그만큼 더 많이 시도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많이 시도하고, 실패하다 보면 누구라도 ‘아… 이건 안 먹히는구나. 다르게 해봐야지.’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것이 반성이다. 결국,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말은 [시도]-[실패]-[반성]이라는 ‘경험의 사이클’을 갖추라는 말이 된다.

 

 

성공하고 싶다면 [시도]-[실패]-[반성]이라는 ‘경험의 사이클’을 더 많이 돌리면 된다. 그럴 수 있는 비결은 완벽주의를 버리는 것이다. 100% 완벽한 시도, 100% 완벽한 반성을 위해 시간과 에너지를 쏟느니 2% 부족하더라도 경험의 사이클을 한 번 더 돌리는 게 이득이다. 그렇게 자라는 세계적인 의류 브랜드로 거듭났다. 그렇게 당신의 인생도 성공할 수 있다. [시도]-[실패]-[반성]의 사이클을 100번 돌려본 사람과 1,000번 돌려본 사람 중 누가 성공할까? 내기하라고 하면 난 무조건 후자에 걸겠다.

 

참고 : 완벽주의자보다는 경험주의자가 되어라, 더쿠